Contents
ChatGPT로 중국어 메뉴판 만들기최근 한국은 중국인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허용으로 다시 붐비고 있습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25년 9월 한 달 동안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약 52만 명, 전년 동월 대비 16.4% 증가했습니다. 7월 기준으로는 약 60만 명, 전년 대비 23.1% 증가를 기록했죠. 코로나 이후 위축되었던 중국 관광 시장이 빠르게 회복 중인 셈입니다.
서울 명동, 홍대, 부산 남포동, 제주 등 주요 관광지에는 이미 중국어 안내 간판과 QR결제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식당 안으로 들어가면 중국어 메뉴판이 없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일부는 번역 앱으로 급하게 보여주거나 영어 메뉴로 대신하지만 음식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주문을 망설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건 뭐지?”, “이게 매운 음식인가요?”
이런 질문을 반복해서 듣는다면, 외국인 고객의 불편이 누적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중국 관광객에게 한식 경험은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문화 체험’입니다. 그들에게 자연스럽고 이해하기 쉬운 메뉴판은 재방문을 이끄는 기본 서비스이자, 관광객 사이에서 입소문을 만드는 시작점입니다.
ChatGPT로 중국어 메뉴판 만들기
ChatGPT를 활용하면 번역 퀄리티뿐 아니라 설명까지 자동으로 만들어줘 손쉽게 메뉴판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설치 및 기본 사용법은 이전 콘텐츠 👉 ChatGPT에게 메뉴를 맡겨보자 (영어 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ep 1. 한국 음식 이름, 올바른 중국어 번역으로 바꾸기
한국 음식 이름을 그대로 직역하면 중국어권 고객에게는 어색하거나 다른 의미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ChatGPT를 활용해 메뉴를 만들기 전에 아래 표처럼 보다 자연스러운 중국어 표현으로 수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어 | 기존 번역 | 권장 번역 |
김치찌개 | 泡菜炖菜 | 泡菜汤 또는 韩式泡菜汤 |
제육볶음 | 炒猪肉 | 韩式辣炒猪肉 또는 辣炒猪肉 |
도토리묵 | 橡子果冻 | 橡子凉粉 또는 韩式凉拌橡子冻 |
💡 정리하자면
- 김치찌개 → 泡菜汤 또는 韩式泡菜汤
- 제육볶음 → 韩式辣炒猪肉
- 도토리묵 → 橡子凉粉 (무침은 韩式凉拌橡子冻)
이처럼 직역 대신 현지에서 실제 쓰이는 표현을 선택해야 고객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Step 2. 음식 설명을 덧붙여 고객의 이해를 높이기
표의 번역어만으로는 음식의 특징을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ChatGPT에 다음과 같이 요청해 보세요.
“각 메뉴에 중국어로 한 줄 설명을 덧붙여줘. 중국 현지인이 읽기 쉽게 표현해줘.”
예시:
- 韩式泡菜汤 — 用泡菜和猪肉煮成的辣味汤 (김치와 돼지고기를 넣은 매운 탕)
- 韩式辣炒猪肉 — 用韩式辣酱炒制的猪肉料理 (고추장 양념으로 볶은 돼지고기 요리)
- 韩式凉拌橡子冻 — 用酱油和芝麻调味的凉拌菜 (간장과 참깨로 간을 한 시원한 묵무침)
💡 TIP
- “병음(pinyin)도 함께 써줘”라고 하면 직원이 발음으로 안내할 때 도움이 됩니다.
예: 韩式泡菜汤 (Hánshì pàocài tāng)
- “간체 / 번체 둘 다 만들어줘”라고 요청하면 중국 · 대만 고객 모두 대응할 수 있습니다.
Step 3. 보기 좋은 메뉴판으로 구성하기
번역과 설명이 끝났다면 이제 보기 좋은 형태로 정리할 차례입니다.
ChatGPT에 이렇게 요청해 보세요.
“한국어 / 중국어 / 설명 / 가격 순으로 표로 만들어줘.메뉴판에 쓰기 좋은 형식으로 예쁘게 정리해줘.”
메뉴 | 中文名 | 说明 | 价格 |
김치찌개 | 韩式泡菜汤 | 用泡菜和猪肉煮成的辣味汤 | ₩9,000 |
제육볶음 | 韩式辣炒猪肉 | 用韩式辣酱炒制的猪肉料理 | ₩10,000 |
도토리묵무침 | 韩式凉拌橡子冻 | 用酱油和芝麻调味的凉拌菜 | ₩8,000 |
💡 TIP
- “식당용 메뉴판 스타일로 정리해줘”라고 하면 표 디자인과 여백, 글자 크기까지 조정된 형태로 제안해 줍니다.
- ChatGPT가 제안하는 문구 중 마음에 드는 표현을 선택해 그대로 메뉴판에 넣어도 됩니다.
- “가격 단위는 원화(₩)로 표기해줘”라고 명시하면 외국 고객에게 혼동이 없습니다.
Step 4. ChatGPT 메뉴판, 이렇게 활용하세요
AI로 만든 중국어 메뉴판을 활용할 수 있어요. 이 콘텐츠를 다양한 온라인 채널과 연동하면 외국인 관광객에게 훨씬 더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1️⃣ QR 주문 메뉴판으로 활용하기
- 메뉴판을 QR코드로 만들어 테이블마다 부착하세요.
- ChatGPT에서 만든 중국어 메뉴 이름과 설명을 그대로 입력하면 외국인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쉽게 주문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배달앱 중심의 기존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2️⃣ 샤오홍슈(小红书)·위챗 홍보 콘텐츠에 활용
- 중국인 관광객의 정보 탐색 채널 1위는 ‘샤오홍슈’입니다.
- ChatGPT로 만든 메뉴 설명을 짧은 캡션으로 바꿔 샤오홍슈, 위챗 모먼트, 트립닷컴 리뷰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먹은 진짜 한식(正宗韩餐)” 같은 문구는 반응이 좋습니다.
💡 TIP
게시물에 “#韩国美食 #首尔餐厅 #韩式料理” 해시태그를 함께 달면 한국 내 검색뿐 아니라 중국 본토 여행자 검색에도 노출됩니다.
사장님을 위한 Tip:
챗지피티 외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서비스가 많아요. 퍼플렉시티, 클로드, 구글 제미나이, 뤼튼 등 사용하기 편한 서비스를 선택해도 되고 교차 검증(더블체크)를 위해 한 가지 더 쓰셔서 챗지피티가 준 문구가 맞는지 이렇게 사용해도 되는지 물으셔서 사용해도 좋아요. 단 네이버나 구글의 단순 번역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가게도 외국인 손님이 부담 없이 메뉴를 고를 수 있는 ‘다국어 친화 매장’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거예요. 메뉴판 하나만 바꿔도 고객 경험은 달라지고 해외 관광객에게 자연스럽게 기억되는 매장이 됩니다. 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진짜 로컬, 지금 바로 로컬루어에서 시작해 보세요.
Share article